1. 히라가나와 가타가나


이미 어느 정도 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스킵


탁음과 반탁음


탁음


がぎぐげご

(가기구게고)

ざじずぜぞ

(자지주제조)

だぢづでど

(다디(지)두(주)데도)

ばびぶべぼ

바비부베보


반탁음


ぱぴぷぺぽ

파피푸페포

(빠삐뿌뻬뽀)


가끔 위에 있는 글자 외에도 탁음 표시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あ゛같이) 이는 강조를 위한 것. 인터넷 용어.


요음, 촉음, 발음, 장음


다른 글자와 결합해 새로운 음을 추가시키는 것들


요음


작은 ゃ, ゅ, ょ (ㅑ, ㅠ, ㅛ)


きゃ きゅ きょ ぎゃ ぎゅ ぎょ

 캬       큐      쿄      갸      규       교

しゃ しゅ しょ じゃ じゅ じょ

 샤       슈      쇼      쟈      쥬       죠

ちゃ ちゅ ちょ

 챠       츄      쵸 

にゃ にゅ にょ

 냐       뉴      뇨 

ひゃ ひゅ ひょ びゃ びゅ びょ ぴゃ ぴゅ ぴょ

 햐       휴      효      뱌      뷰       뵤      퍄      퓨       표

みゃ みゅ みょ

 먀       뮤      묘 

りゃ りゅ りょ

 랴       류      료 


촉음


작은 っ


っ + かきくけこ -> っ가 ㅋ 발음으로 がっこう(갘코->각코)

っ + さしすせそ -> っ가 ㅅ 발음으로 けっせき(켓세키)

っ + たちつてと -> っ가 ㅌ 발음으로 きって(킽테 -> 킫테)

っ + ぱぴぷぺぽ -> っ가 ㅍ 발음으로 いっぱい(잎빠이 -> 입빠이)


발음


히라가나 표의 맨 끝에 자리잡고 있는 ん(응. 받침 ㅇ or ㅁ or ㄴ)


さんぽ おんがく かんじ かばん

삼뽀      온가쿠       칸지      카반


장음


뒤에 あいうえお가 추가로 붙어 긴 음을 표시. 장음이 붙고 안 붙고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 있음


おかあさん

오카(아)상

おにいさん

오니(이)상

すうがく

수(우)가쿠

おねえさん

오네(에)상

えいが

에(이)가 -> 실제 발음은 에-가

おおぞら

오(오)조라

こうこう

코(우)코(우) -> 실제 발음은 코-코-


가타가나에서는 ー으로 장음을 표시한다


プロデューサー

프로듀-서-


장음이 있고 없고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


おばあさん(할머니) おばさん(아줌마) 

おじいさん(할아버지) おじさん(아저씨) 

おじさま(이모부, 고모부, 삼촌 등) おうじさま(왕자님)

おにいさん(오빠) おにさん(도깨비씨)


한자(간체자)


學 배울 학 -> 学 まなぶ / がく

傳 전할 전 -> 伝  つたえる / でん

國 나라 국 -> 国 くに / こく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한자를 간략하게 쓴다


음독과 훈독


우리나라: 音 소리(뜻) 음(읽는 음)

일본: 音 おと(뜻으로 읽음) おん(읽는 음)


일본은 한자를 읽는 방식이 여러가지


音(おと)音(ね)/ 音(おん)音(いん)


보편적으로 읽히는 발음이 있지만 그래도 경우마다 다르기 때문에 미리 어떻게 읽는지 숙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명일 경우 더더욱 기상천외하고 다양한 발음으로 한자를 읽는다


ex) 小鳥遊 (ことりあそび가 아닌 たかなし)


계속 문장을 접하다보면 어느정도 머리에 들어오기 때문에 너무 겁먹을 필요는 없음. 일부러 달달 외울 필요도 없음.


みなさん、静かにしてください。

私は韓国人です。

貴方は今何をしてますか。


일본어에는 기본적으로 띄어쓰기가 없다(한자와 히라가나가 명확히 구분되기 때문)


remainder72님의 창작활동을 응원하고 싶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