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ouldn't be more wrong actually,
I'm unbelievably sentimental.
You know, the best thing would be
to actually be as earnest as I feel
because, I know what I'm doing
just everything that I do, it knows what it is.
You know, for the amount I'm paying you
You're not very good at this.

사실 네가 한 말은 죄다 틀렸어
난 믿을 수 없을 만큼 감상적이거든.
그러니까 최선의 방법은 아마
느끼는 만큼 진짜 정직해지는 걸 거야
왜냐면 나는 내가 뭘 하는지 알고
전부 다 알잖아, 나는 다 안단 말이야.
근데 내가 너한테 주는 돈이 있는데
그 값을 좀 못하는 거 같아

You learn a couple things when you get to my age
Like friends don't lie and it all tastes the same in the dark
When your vinyl and your coffee collection is a sign of the times
You're getting spiritually enlightened at 29

내 나이쯤 되면 너도 아는 게 생길 거야
친구는 거짓말을 안 한다든지 눈 감으면 그게 그거라든지
너의 바이닐과 커피 컬렉션이 시대의 흔적이 될 즈음에는
29살에는 정신적으로 깨달음을 얻어갈 거야

So just give yourself a try
Won't you give yourself a try?
Won't you give yourself a try?
Won't you give?

그러니 너에게 기회를 줘
너 자신에게 기회를 주지 않겠어?

I found a grey hair in one of my zoots
Like context in a modern debate, I just took it out
The only apparatus required for happiness
is your pain and fucking going outside
And getting STDs at 27 really isn't the vibe
Jane took her own life at 16
She was a kid who had the box tattooed on her arm
And I was 25 and afraid to go outside
A millennial that baby-boomers like

대마초에서 흰머리를 발견했어
현대 논쟁 속 맥락처럼, 그냥 빼버렸어
행복에 요구되는 단 하나뿐인 기구는
너의 고통과 방구석에 처박혀 있지 않는 것
27살에 성병에 걸리는 건 그런 축은 아니지
제인은 16살에 자기 목숨을 끊었어
박스*를 팔에 문신한 어린애였는데
25살 먹은 나는 집밖에 나가는 것조차 무서운
베이비부머들이 좋아하는 밀레니엄 세대였어*

Won't you give yourself a try?
Won't you give yourself a try?
Won't you give yourself a try?
Won't you give?

너 자신에게 기회를 주지 않겠어?

And what would you say to your younger self?
Growing a beard's quite hard
And whiskey never starts to taste nice
And you'll make a lot of money, and it's funny
'Cause you'll move somewhere sunny and get addicted to drugs
And spend obscene amounts on fucking seeds and beans online

'과거의 나 자신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나요?'
수염을 기르는 건 좀 어려워
위스키는 도무지 맛있어질 생각을 안 하고
돈이 아주 많아질 거야, 웃기는 일이지
어딘가 화창한 곳으로 이사한 다음 마약에 중독될 거니까
터무니없는 돈을 들여 씨앗과 콩알*을 주문해댈 거야

So just give yourself a try
Won't you give yourself a try?
Won't you give yourself a try?
Won't you give?

그러니까 너에게 기회를 주자고
너 자신에게 기회를 주자고

작사: Adam Brian Thomas Hann / George Bedford Daniel / Matthew Timothy Healy / Ross Stewart MacDonald


*the box: The 1975 밴드의 앨범 커버에 있는 사각형 모양을 가리킨다. 이 모양을 문신한 밴드 팬이 많으며 가사 중 Jane도 그중 한 명.
*A millennial that baby-boomers like: 온건한 중년층이 부정적으로 여기는 청장년층의 특성을 잃었던(집을 나서는 것조차 두려웠던) 시기의 자신을 말한다.
*seeds and beans: seeds는 마리화나 씨앗을 가리킬 수 있으며 beans는 엑스터시의 은어이기도 해 마약을 뜻하는 표현으로 볼 수 있다.


Here’s his brutally honest take on the lyrics to Give Yourself A Try...
“Like friends don’t lie and it all tastes the same in the dark…”
“It’s definitely a statement about being a millennial. I think that line’s about authenticity, really. And the things that have permanent value that stay there. Value is only part of worth and you learn that in relationships.”
“You’re getting spiritually enlightened at 29…”
Everyone sits there in sixth form and goes materialistic things aren’t the things we need to look for. But you give it a shot! Then you get to 27 or 28 and think that’s a bit rubbish. You know the song Love Me, it was very important that it wasn’t ‘Poor Me’. Because you have people who are famous, who say Oh, what a nightmare. To be honest with you, I’m not that famous. If you like music, then you know who I am. It’s about whether you acquire that knowledge, it’s about searching for that truth in amongst things that you thought were going to provide you with the answer. This golden whatever, or this award. It’s not what it’s about, we all know that. I think it’s that bloke Ram Dass that said that?”
“And getting STDs at 27 really isn’t the vibe…”
I don’t know where that line came from, I just remember thinking it was funny. With me, I genuinely forget which parts are autobiographical and which parts aren’t. Because the lyrics become such an innate part of my identity that as soon as they go out there, I just accept them as truths anyway! So that’s not about me! I wasn’t getting STDs, babe - that’s to my girlfriend, but she knows that.”
“It’s funny cos you’ll move somewhere sunny and get addicted to drugs...”
“Yeah, that’s autobiographical. Was it prescription drugs? I was definitely a victim of that culture. I’m kind of versed in that. The ‘golden years’, we call it. But I’m in a much better place now. What’s difficult sometimes is writing about the really present past, like stuff that happened a couple of months ago. It’s difficult to be objective about it, to not be emotional enough to write about it.
“Yeah, I was addicted to drugs, I’ve spoken about my history with drugs, I’m not going to hold back and lie, because it’s been a nightmare. The end of last year up until when I thought this record started to get good, round about the start of February, was a absolute nightmare. Cos I was getting clean, I was trying to figure out what I wanted the 1975 record to be… Luckily I learned that I never need to do that, because whatever happens is just what it’s gonna be.
“The record’s about telling the truth. People can deal with being told the truth. What they can’t deal with is being messed around. If you think that you’re helping someone by hiding the truth, then you’re probably not.
“So all of these things that have happened have made me think that all I have is to tell the truth. That’s the only tool I have to navigate through the world - otherwise I’ll just get it wrong.
“Apart from.. I moved to various sunny places, I didn’t get a permanent place, I still have to do that!”
https://www.radiox.co.uk/artists/1975/matt-healy-explains-1975-song-give-yourself-try/

맷 힐리가 난폭할 정도로 솔직하게 Give Yourself A Try 가사를 설명한다.
“Like friends don’t lie and it all tastes the same in the dark…”
(넷플릭스 드라마 Stranger Things의 대사 인용은 아니에요.) 밀레니엄 세대를 잘 표현하는 말이기는 하죠. 그 가사는 진정성에 대한 가사라고 생각해요. 그런 것들에는 영원한 가치가 있고 사라지지 않잖아요. 가치(value)란 자격(worth)의 일부고 관계를 통해 이걸 알게 되죠.
“You’re getting spiritually enlightened at 29…”
다들 앉아서 대학 입시를 준비하고 물질적인 것들을 목표로 삼지 않잖아요. 하지만 시도는 해요! 그러다 27살이나 28살이 되면 그게 쓸데없어 보이죠. Love Me(나를 사랑해줘)라는 곡 아시죠, 그 곡 제목이 Poor Me(불쌍한 나)가 아닌 게 정말 중요해요. 왜냐하면 오, 이게 무슨 악몽이야, 라고 말하는 유명한 사람들도 있으니까요. 솔직히 말하자면 저는 그렇게 유명하진 않아요.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나 좀 알지. 그런 지식을 얻는지, 답을 알려줄 거라고 생각했던 것들 사이에서 그 사실을 찾는것에 대한 가사에요. 이 소중한 뭔가, 아니면 이 보상을. 그게 뭔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는 거 다들 알잖아요. 이 말 한 게 람 다스인가 그렇죠?
“And getting STDs at 27 really isn’t the vibe…”
이 가사가 어디서 왔는지는 모르겠는데, 재밌다고 생각한 기억은 나요. 저는 어떤 부분이 자전적이고 아닌지 진짜로 잊어버려요. 왜냐하면 어차피 곡 발표를 하자마자 가사가 제 정체성의 타고난 일부가 되고 저 자신도 그걸 진실로 받아들이거든요! 그러니까 제 얘기는 아니에요! 나 성병 없어, 자기야. 이 말은 제 여자친구에게 하는 말이에요. 이미 알고 있지만요.
“It’s funny cos you’ll move somewhere sunny and get addicted to drugs...”
네, 이건 자전적인 얘기 맞아요. 처방약이었던가? 저는 그 문화에 피해를 받은 거였어요. 일종의 그 분야에 조예가 깊은 거죠. 우리는 '노후'라고 부르는데. 그래도 저 지금은 훨씬 나아졌어요. 가끔 힘든 건 진짜 가까운 과거에, 막 한두 달 전에 있었던 일에 대해 쓰는 거예요. 그럴 때는 객관적으로 생각하거나 곡을 쓸 만큼 감정적으로 되지 않기가 힘들어요.
그렇죠, 저도 마약 중독이었고, 제 마약의 역사에 대해서 얘기도 많이 했잖아요, 거짓말하고 비밀로 할 생각이 없는 게, 그동안 악몽 같았거든요. 작년 말 이 앨범이 잘 되겠구나 싶었던 때까지, 2월 초에, 완전 악몽이었어요. 나는 클린해지고 있는데 The 1975 앨범을 어떤 앨범이 됐으면 했는지 기억나질 않아서... 다행히 기억할 필요가 없다는 걸 깨달았죠. 앞으로 일어나는 일들이 일어날 일들이니까요.
이번 앨범은 진실을 말하는 것에 대한 거예요. 사람들은 진실을 듣기는 할 수 있어요. 망가지는 걸 못 견디죠. 진실을 감추면서 누군가를 도와준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안 그럴 걸요.
그래서 과거의 모든 일들로 인해 저는 제 할 일은 진실을 말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됐어요. 그것만이 세상을 나아갈 나의 도구다. 솔직하지 않으면 그르칠 것이다.
그거랑 별개로... 저는 여러 화창한 곳으로 옮겨왔어요, 영원히 있지는 못했지만, 계속 그래야 하죠!

재채기님의 창작활동을 응원하고 싶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