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는 한 해를 24절기로 나누어 계절의 변화를 알려준다. 

* 24절기

절기는 역(易)의 원리인 계절에서 출발하였는데  대자연을 우주, 인간은 소우주라고 한다. 태양과 지구, 달의 운행 등 천문 현상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논리적으로 분석한 24절기는 4가지가 기준인 시기로 나누어지는데 첫째 시기는 춥고 더움, 두번째 시기는 기온의 차이, 세번째 시기는 강수량의 차이, 마지막으로 자연의 물상변화로 구분하였다. 

24절기는 본래 동양에서 계절을 올바로 알기 위해 12절기와 12중기를 합친 것으로 태양과 지구, 달의 운행을 통해 정립되었는데 자연현상의 상생 상극, 즉 태어나서 성장하고 쇠퇴하며 소멸하는 자연 이치를 음양오행과 천간지지의 부호(십간,십이지지)를 적용하여 길흉을 예측하는 명리학으로 발전되었다.

명리학은 계절과 시간의 변화를 음양오행과 천간(십간) 지지(십이지지)를 적용하여 해석하는 논리 학문으로 발전된 것이다. 계절의 변화 시기를 알려주는 24절기는 곧 인간의 운명이 변화되는 시점을 말하며 이를 근거로 뚜렷한  개인 성향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어느 년,월,일,시에 태어났는가는 한 인간의 운명을 바라볼 때 꽤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사주는 계절별로 개인의 성향을 분석하는데, 예를들면 봄의 기운이 강한 사람은 일처리를 독립적으로 빠르고 적극적으로 처리하며 여름의 기운이 강한 사람은 밝게 성장하는 기운이 강하며 가을의 기운이 강한 사람은 신중하며 깔끔하게 일의 마무리를 잘한다. 또한 겨울의 기운이 강한 사람은 수렴하고 저장하는 성향이 강하다. 

 

          " 계절의 이치를 터득하면 천명이 보일 것이고 선대부터 이어져온 삶의 지혜 또한 얻을 것이다."




사주는 天命으로 天命이 자신의 세상만사와 어떻게 결부되여 있는 지를 알고 육친과 건강,이성,진로,재,관의 관계를 알고 지혜를 얻어 성공의 길로 들어서는 시야를 넓혀보자. 天命을 잃고 자신의 비단으로 구름을 만들어 성공적인 삶을 살아 보자.

naun K님의 창작활동을 응원하고 싶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