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살, 2015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영화다. 상업성과 메세지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그냥 최동훈 감독 작품들을 좋아하기도 한다. 사실 싫어하기도 힘들다...천만 영화를 몇 개씩 찍는 사람이니까... 한국에서 최동훈 피하면 뭐 볼 수 있는 작품이 몇 개나 있다고...


암살의 메인 플롯은 매우 간단하다. 그리고 유구하게 쓰여 왔던 플롯이다. 일제강점기 시대에, 친일파를 암살하기 위한 암살 작전을 수행한다. 최동훈 감독은 이 플롯에서 진지함과 비장감을 조금씩 덜어 내고 그 자리를 서브 플롯으로 채워 낸다. 바로...전지현 (작중 안옥윤)의 삶과 생애에 대한 내용이다. 이는 관객들이 이야기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마지막 장면의 효과를 극대화해주기도 한다. 

평론가들에게 욕을 먹은 이유는 아무래도 개연성이 부족하고 캐릭터가 진부하며 플롯이 허술하단 이유였지만 솔직히 일제강점기 배경 영화 중에 이런 영화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플롯이 허술한 것은...잘 모르겠다. 독립운동이라는 메인 플롯과 각 인물들의 삶이란 서브 플롯이 맞아떨어져서 주는 몰입감과 쾌감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상업 영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어떻게 관객의 흥미를 끌어낼 수 있느냐에 달려 있으니까. 그리고 개성 있는 캐릭터성이 감독의 매력이라고 생각한다. 짧은 장면만으로 이 캐릭터가 어떤 캐릭터인지 보여 주는 것은 정말...정말 큰 장점이다. 질투가 난다. 뭣보다 대사를 잘 쓴다. 타짜에서도 그랬고 전우치에서도 그랬고 도둑들에서도 그랬다. 개성 있는 캐릭터성과 그에 걸맞는 대사들이 쭉쭉 뽑혀 나오며 시너지를 이룬다고 본다. 


역시 제일 좋아하는 것은 마지막 시퀸스다. 독립이 되었다는 사실에 기뻐하는 독립운동가들, 죽어간 독립운동가를 위해 잔을 올리는 김구, 염석진에 대한 정의구현, 그리고 그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마지막의 마지막에서 동료들과의 즐거웠던, 돌이킬 수 없는 한때를 떠올리는 안옥윤까지. 독립운동가들도 결국 평범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람들이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라를 위해 자신을 바치는 선택을 했다는 게 확 전달되는 장면이었다. 

아무튼 부럽다...물론 엄청나게 노력했겠지만 그 대사 센스랑 감독 손을 거치면 확 살아나는 캐릭터들이 정말 부럽다. 감독 집어삼키고 그 재능을 내 것으로 만들고 싶다. 감독 잡아삼키고 싶단 얘기를 스터디하면서 몇 번이나 하는지 모르겠는데 최동훈은 진짜 삼키고 싶다. 




레몬빵님의 창작활동을 응원하고 싶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