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편까지는 정말 MMD의 기초 활용을 배웠다면..이번 편에서는 정말 본격적으로! 유튜브에 올라와있는 예쁜 MMD들처럼 이것저것 효과를 넣어보고 할 예정입니다! 저번 편은 그냥 기본적인 기능만 알아보려고 한 게 전부라 실내 스테이지를 사용했지만 이번편에서는 실외 스테이지를 사용해볼겁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MME와 오늘 사용할 이펙트들을 다운받아줄겁니다.


MME 다운로드

https://bowlroll.net/file/35013

해당 사이트에 가서 MME 파일을 받아주신 후에


저처럼 MMD 폴더 안에 이렇게 MME 파일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넣으시고 나면 MMD  프로그램 실행시 프로그램 우상단에 MME 탭이 새로 생겨있을거에요!


이펙트 다운로드

이제 MME를 사용하려면 개별 이펙트가 필요하겠죠? 그것들을 다운받아보려고 합니다~ MMD에서 쓸 수 있는 이펙트는 정말로 무궁무진하고...정말 아주아주아주많지만..이 강좌에서는 제가 자주 사용하거나 OR MMD 사용에 있어서 많이 사용되는! 그런 이펙트들로만 목록을 아주 간단하게 추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어떤 이펙트가 있는것이냐?  


① Ray-mmd 

https://github.com/ray-cast/ray-mmd

② AutoLuminus4 (강좌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나 정말 많이 쓰는 이펙트이기 때문에 받아두시는 것을 추천)

③ Diffusion7

④ MotionBlur 

https://onedrive.live.com/?id=EF581C37A4524EDA%21108&cid=EF581C37A4524EDA (위 세개는 이 링크에서 함께 다운로드합니다)

⑤ PowerDOF

https://harigane.at.webry.info/201209/article_1.html


일단 이렇게 다섯 개를 받아주시면 됩니다. 추후..혹시 컴퓨터가 이런저런 효과를 먹이면 너무 힘들어하는 경우에는 Ray-mmd만을 사용하시는 쪽으로만 하셔도 되지만..가능하시다면 이것저것 넣어볼수록 영상이 예뻐지더라구요~ 이펙트 자체의 용량이 무거운 건 아니니 일단 다운은 받아주세요! 기왕이면 관리가 편하게 MMD 이펙트들만을 따로 모아서 폴더 안에 넣어주시는 걸 추천드려요!


자 전부 다운받으셨나요? 본격적으로 MME 활용을 통한 MMD 영상 제작으로 들어가보겠습니다!


(+)

강좌에 앞서, 미리 사용하고싶은 스테이지를 야외 스테이지로 준비해주세요~ (실내스테이지가 아닌, skybox 파일이 포함되지 않은 스테이지) 모션 및 카메라, 음원은 원하시는 걸로 해주셔도 괜찮습니다! 저는 이번 강좌에서 Horizon이라는 모션을 사용할 예정이니 원하시는 분은 같은 모션으로 하셔도 됨! 곡이 같든 다르든 강좌 내용 이해에 있어서 차이는 없습니다!


1. Ray-mmd 적용


Ray mmd를 사용하기에 앞서 Ray mmd가 무엇이냐? 간단하게 말하자면 쉐이더 겸 화면 보정에 광원 조절까지 전부 겸한 이펙트입니다. 단순한 이펙트라기에는 이래저래 기능이 많은 편이라..MMD를 제작하시는 분들 중 Ray-mmd를 사용해서 영상을 만드시는 분들이 정말정말 많습니다. 또한 이래저래 잘 만지면 정말 예쁘게 결과물을 낼 수 있게 만들어주는 이펙트다보니 저도 영상 만들 때에는 부득이하게 레이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아닌 이상은 웬만해서 Ray를 꼭 사용해주는 편입니다.

자 그럼 서론은 그만 접어두고 본격적으로 사용해볼까요? 일단 본격적 적용에 앞서 ray 사용시 꼭 꺼주어야 할 두 개의 설정을 말씀드리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view 탭에서 anti-aliasing, display ground shadow 이 두 개는 꼭 체크해제를 해주세요! 앞으로도 ray를 사용하실 때에는 꼭 꺼주셔야 하는 옵션입니다! 프로그램이 충돌하고 그런 건 아닌데 미관을 꽤 해치므로..꺼주시는 것을 추천!

꺼주셨다면 정말 이제 영상을 만들어볼까요? 일단 이번 강좌에서 저희는 낮배경을 만들어줄거기때문에!  ray mmd -> skybox -> Time of day 폴더 내에 있는 Time of day.pmx 파일을 열어줄겁니다! 해당 파일은 스카이박스(Skybox) 파일로, 실외 배경을 사용할 때 하늘 배경을 담당해줍니다!  폴더를 보고 알아챈 분이 계시겠지만 ray의 skybox 폴더 내에 있는 것들은 해질녘 도시의 하늘을 표현해주는 하늘도 있고, 밤하늘을 표현해주는 하늘 파일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희는 뭐다? 낮을 표현해볼거다~ 그러므로 Time of day를 써보도록 해요><


이래저래 말이 길어졌는데 여하튼 스카이박스 파일을 불러오시면 이렇게 하늘이 생깁니다! 이렇게 하늘을 불러왔다면 다음에는 ray mmd 폴더 내의 ray_controller.pmx를 불러와주시고, Camera 탭을 틀어놓으신 상태에서 accessory manipulation 창의 load를 누르신 후, ray.x 파일을 불러와주시면 됩니다!


혹시 헷갈려하실 분들을 위해..이쪽에서 불러와주시면 됩니다!


잘 불러오셨다면 화면이 이렇게 좀 하얘집니다! 이쯤에서(사실 스카이박스 불러오셨다면 효과 적용 하시기 전부터 불러오셔도 됨..) 모델을 불러와볼까요?


짠! 불러왔는데 어쩐지 좀 하얗네요..좀 이상하죠? 저희는 선명하게 색깔이 잘 들어간 영상을 만들고 싶은건데…. 네, 이제 여기서 저희는 본격적으로 MME를 사용할겁니다! ray 효과를 적용한 이후에도, 불러온 pmx 파일들에 이런저런 것들을 할당해주어야 모델이 제대로 보이게 되기 때문에!


MMD 우측 상단에 MMEffect라는 탭이 생긴 게 보이시나요? 그걸 누른 후 Effect Mapping을 눌러주세요! 

자 그럼 저희는 이런 창을 마주하게 될겁니다! 앞으로  MMD를 하시면서 정말정말정말!! 많이 보시게 될 창이에요! 해당 창에서 저희는 이펙트를 구체적으로 모델의 어느 부분에 할당해줄지? 어떤 효과는 끄고 어떤 효과는 켜줄것인지 자세히 설정해줄 수 있습니다!


일단 저희는 모델과 하늘의 색을 좀 제대로 되돌려야하니..설정을 해주도록 합시다!


탭을 Main에 두신 뒤에, 스카이박스부터 설정해주도록 하겠습니다! Time of day에 마우스를 올려서 우클릭을 해주신 후 set effect file을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파일을 열 수 있는 창이 뜰텐데 거기서 ray -> Time of day 폴더 안에 있는 Time of day.fx 파일을 눌러서 열어주세요!



모델의 경우에는 모델파일 위에서 우클릭 후 set effect를 눌러준 뒤(혹은 모델파일을 한 번 누른 후 MME창 좌하단의 set effect 버튼눌러주기) ray -> Main 폴더에 있는 main.fx 파일을 할당해주시면 됩니다!

(혹시 모델파일이 뭔지 모르시겠다 헷갈린다! 하는 경우에는 옆에 있는 체크박스를 해제해가시면서 알아보시면 됩니다. 모델파일 체크박스 끄셨다면 모델이 화면에서 사라집니다.)

메인파일을 할당해주셨나요? 무서워졌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것이 아니니 걱정마세요 좀 무섭게 생기긴 했는데 잘 하고계시다는 거니까요! 다시 갑시다!


다시 MMEffect를 켜주신 후 FogMap 탭으로 이동해주세요! 미리 짚고 가자면, skybox 설정을 할 때에 저희가 설정을 할당해주기 위해 들어갈 탭은 Main / FogMap / EnvLightMap / MaterialMap 이 네 개입니다! Main에서 main.fx 할당을 해준 후 저희는 FogMap에서 fog 계열의 fx파일을 적용해줄거에요

Time of day를 우클릭해서 set effect file을 선택해주신 후 이번에는 skybox -> Time of day 폴더로 들어가줍니다! 

이번에는 time of fog.fx 파일을 할당해줄거에요! 앞으로는 효과를 적용할 때 우클릭->set effect는 굳이 더 첨언하지 않고, fx파일을 할당해준다는 말로 대신하겠습니다! Time of fog를 클릭하신 후 열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배경이 하얘졌을거에요…이미지 추가 첨부 없이 남은 두가지 탭은 글로 이어서 설명해드릴게요!

EnvLightMap 탭으로 넘어가신 후 Time of day에 Time of lighting.fx 파일을 할당해주시고, 마지막으로 MaterialMap 탭으로 넘어가신 후에 ray -> Materials 폴더 내에 있는 material_skybox.fx 파일을 Time of day에 할당해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다면!


짠! 모델과 하늘의 색상이 정상적으로 돌아왔습니다! 모델이 조금 어둡다! 제대로 된 거 아닌 거 아니냐? 하고 물어보신다면!


light manipulation 탭에서 광원을 조절해준 모습

광원(모델을 비추는 빛의 위치를 어디로 해줄것인지)을 좀 바꿔주시면 모델이 멀쩡한 색을 하고 있는걸 아시게 될거에요>< 물론 전 이따 강좌 하면서 광원을 뒤로 보내버릴거지만..어쨌든! 적용이 잘 됐습니다! 그럼 다음으로 넘어가야겠죠? 하늘도 모델도 불러왔으니 모델이 발 딛고 설 스테이지를 불러오겠습니다! 스테이지를 불러와주세요!


스테이지 - https://seiga.nicovideo.jp/seiga/im7662378

스테이지 출처는 주소 참조해주세요! 참고로..다운로드에 비밀번호가 걸려있는데, 힌트가 적혀있거든요. 답을 제가 알려드릴 수는 없으니 힌트 보고 모쪼록 잘 다운받으셔야합니다..이런거 비밀번호 공연히 알려드리면 안돼서..번역기 돌리고 구글링 쫌만 하면 진짜 쉽게 나옵니다! 복잡하시면 비번 없는 다른 스테이지 찾아서 받아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어쨌든 스테이지를 불러오셨다면! 지금은 별로 안어색해보이지만, 효과 넣다보면 어색한게 많이 느껴지니까요.. 이 스테이지도 ray에서 사용하는 쉐이더를 먹여줘야합니다! MMEffect를 켜주신 후 Main탭에서 스테이지 pmx 파일에 모델에 넣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Main.fx (다시 말씀드리자면 ray -> Main 폴더 아래에 있음) 파일을 할당해주세요~


짠. Main.fx 파일을 할당해주셨다면 더 간지나고 입체적인 배경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소품이라든지 배경 모델 등, ray를 사용하면서 들어오는 모든 모델, 배경, 소품계열 pmx 파일(효과 조절용 컨트롤러 이런건 아님!!)에는 Main.fx를 할당해주시면 됩니다!

※주의점

 해당 pmx 파일이 저장된 경로 중에 일본어가 있으면..Main.fx를 Main 탭에서 할당해주면 이게 


표시한 탭에서 Main.fx를 할당한 pmx 파일에는 저 부분의 fx파일이 자동으로 쫘르르 설정이 원래 돼야하는건데 적용되지 않습니다..그래서 막 하얗게 되고 그래요..이런 경우는 직접 저 탭에서 설정들을 하나하나 다시 적용해주는 방법도 있지만 그거는 귀찮기도 하고 이래저래 문제가 좀 있으므로..모든 모델, 스테이지, 스카이박스 파일이 있는 폴더 및 그 상위폴더들의 이름은 미리 전부 영어 or 한글로 바꿔주세요!


기본 할당을 다 했다면 이제 재질을 만져보러 갑시다! 재질을 만지는 게 뭐냐? Material 탭에서 만질 수 있는데, 모델의 피부나 머리카락 옷 등의 질감을 바꿀 수 있게 해주는겁니다! Material 탭에서 모델(우선은 모델로 하는데 스테이지에도 재질 적용 가능. 그건 응용으로 충분히 하실 수 있는 부분이니 일단 모델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을 우클릭하시고 subset-Extract를 눌러주시면


모델의 하위 재질이 뜹니다! 이거 어디서 보시지 않으셨나요? 맞습니다 저희가 pmx 에디터에서 모델수정을 할 때 켜고끄던 그 세부설정들이에요! 저희는 MME에서도 이 설정을 통해 저희가 원하는 부분에 특정 재질을 할당해줄 수 있는거에요! 기본은 material_2.0.fx가 할당이 되어있어서 사실 필요가 없다! 귀찮다! 하시는 분은 안 만져주셔도 되지만 저는 기본적인 건 하고싶어서..피부, 머리카락 정도에는 재질 할당을 해줍니다. 재질 할당도 위에서 했던 것과 똑같이! 원하는 부분(Material탭에서 옆의 체크박스를 껐다켜시면 그게 어느 부분인지 알 수 있습니다!)에 set effect를 통해 재질 설정을 해주시면 돼요! 근데 그러면 재질 설정을 하려면 뭐가 있어야하지않느냐? 그렇습니다. 그 파일은 여기에 있습니다.


Ray -> Materials 폴더 하위에 가보시면 이런식으로 폴더들이 더 있죠? skin 폴더 아래에는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재질 파일이 있고, Hair 폴더 아래에는 머리카락에 적용할 수 있는 재질 파일이 있습니다. 옷같은 경우에는 저는 유광 가죽 레자 이런 게 아닌 이상 귀찮아서 잘 안 만지는데…원하시는 분들은 ray material 같은 키워드로 구글링해서 원하시는 재질을 추가적으로 받으시는 걸 추천드려요!

(+) 짤팁. 눈 흰자 부분에는(Vroid 모델이라면 Eyewhite라고 써져있을것) cloth 폴더 아래의 cloth white를 설정해주면 좋습니다. 흰자가 그림자에 까매지지 않아서 좋음. 그리고 피부랑 머리카락은 웬만해선 재질설정 해주세요. 특히 피부!!! 쉐이더 먹여서 좀 칙칙해진 얼굴에 혈색이 돌게 해줘서 예쁩니다.


이제 매터리얼까지 해서 기본적인 설정은 끝났습니다! Ray의 기본설정까지 끝마쳤으니 본격적으로 화면보정 파트의 세부설정에 들어가볼까요?

세부설정을 하기 전에 제가 가장 먼저 하는 건 기본 광원을 뒤로 보낼지 아니면 앞으로 보낼지 고민하는 일인데…, 저는 고민하다가도 그냥 웬만하면 뒤로 보냅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본 광원은 camera 탭에서 설정하는 light manipulation을 말함) 낮배경은 전부 뒤로 보낸 기본 광원을 쓰고 밤배경은 정말 가끔 기본 광원을 앞에 두기도 하는데..이 부분은 취향문제라 원하시는 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그래도 비교가 있는 편이 좋으니까 예시를 들자면


요 영상은 기본광원을 후방에 둔 영상이구요


요 영상은 앞에 뒀습니다


물론 추가광원을 두기는 하지만! 기본광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분위기가 있으니 원하시는 느낌에 따라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정말로 진짜로! 세부설정을 만져볼건데 저희는 크게 두 개를 만져볼거에용.

Time of day.pmx 와 ray controller.pmx의 모프를 만져줄겁니다. 모프가 뭐다? 

https://posty.pe/kd48nz

다시 강좌 4편으로 돌아가서 facial manipulation 의 설명을 참조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보고 오셨나요? 인간 모델 pmx 파일에서는 모프를 설정하면 보통 표정쪽이 바뀝니다. 반면 스테이지, 스카이박스, 그리고 효과파일과 함께 불러와주는 효과 컨트롤러용 pmx파일은 해당 파일의 모프를 만지면?


ray controller의 경우 - 화면 보정을 할 수 있음. 채도, 감마, 빛의 세기, 화면의 색 조정 등등

컨트롤러.pmx 파일을 함께 불러와야 하는 다른 효과의 경우 - 효과의 구체적 설정을 모프를 통해 할 수 있음

스카이박스의 경우 - 하늘에 구름이나 별을 얼마나 놓을지, 하늘의 색을 어떻게 할지, 햇빛이 얼마나 분산되게 할지


이런 식으로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모프를 움직임에 따라 정할 수 있습니다! 좀 자세한 설명은 이제..저는 기능을 완전히 잘 설명할 자신이 없으므로 모프별 설명에 관한 부분은 링크로 대체하겠습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cmmd&no=3186

해당 게시물에 스카이박스 모프별 설명이 잘 되어있으므로 이쪽을 참고하시면서 직접 모프를 움직여보시면 이해가 잘 가실거라고 생각해요! 모프 설정은 보기보다는 정말 직접 해볼수록 이해가 잘 되니까 꼭꼭 직접 움직여보시면서 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그러면 이제 직접 모프를 움직여볼까요! 일단 스카이박스 모프부터 움직여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하게 모프를 설명하기보다는 대강 어떤식으로 했는지 보여드리는 정도로 할게요!


스카이박스 모프를 만진 후입니다! 위의 사진에 비해 확실히 화사해졌죠?

저는 일단 좌상단의 모프(햇빛과 하늘의 색을 주로 담당)에서 하늘 색을 좀 파랗게 해줬어요. 파랗고 채도가 높은 하늘을 쓰는 게 취향이라서 하늘 빛을 좀 선명하게 살려줬습니다. Sunradius+와 SunRadiance+도 좀 올려줬어요. RayleighHeight - 값 또한 올려줬습니다.

우상단의 모프는 빛이 좀 퍼져서 밝은 느낌이 나도록 EnviDiffLight+와 EnvSpecLight+값을 일단은 0.3,0.4씩 정도로 올려줬습니다.

좌하단에서는 Fogrange+, Fogintensity+ 정도만 0.3정도로 적당히 올려줬구요

우하단의 구름 설정은 Cloud+ 와 CloudTurbidity+ 둘 다 0.5 정도로 올려줬습니다! 그래서 저런 화면이 나왔어요!

대강 이런 설정이다~ 하고 참고용으로만 알려드리는겁니다! 이 부분은 직접 만져보시면서 취향 화면 찾아가시는 게 좋을 것 같아서요~ 그리고 이렇게 만지고 넘어가도..어차피 ray controller 만지고 하다보면 다시 돌아와서 수정하고 수정하고 또 수정하게 되기 때문에..그냥 큰 보정의 틀만 잡는다고 생각하시고 적당히 하신 뒤 넘어가주세요!


생각보다 길어졌네요 이정도면 ray 강좌 다 쓸 수 있을 줄 알았는데..일단 여기서 끊고 바로 이어서 다음편에서 ray controller 조작 및 타 이펙트 사용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준비중인 시험이 있어서 질문을 주셔도 답을 드리기 어렵게 됐습니다ㅜㅜㅜ....다시 상황이 될 때 돌아오겠습니다!


베론이나처돌이

냐즈님의 창작활동을 응원하고 싶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