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 하기 전에 읽어보면 좋은 글

인세인은 이미 공유되어 있는 정보 글이 많지만, 분산이 되어 있어서 방세팅에 관한 정보를 찾기에 오랜 시간이 걸릴 뿐입니다. 자유롭게 사용을 위한 이미지 및 매크로가 있으니 공유를 받거나 방 세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간추렸습니다. 저 또한 기존의 많은 분들이 공유해주신 정보를 바탕으로 방 세팅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이하의 글에서 적을 내용 또한, 아래의 분들의 정보에 많은 감사를 얻었습니다.




세션이 있을 때마다 방을 만들어야만 하나요?

매 번의 세션 마다 매크로를 복사하고 광기카드를 선택하는 일은 여간 힘든 것이 아닐 것입니다. 그리고, 다행스럽게도 Roll20에서는 방을 '복사'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마스터링은 1회 이상 할 계획이 있으신 분이라면, 혼자만 존재하는 '마스터 방'을 만들고 세션이 있을 때마다 방을 복사하여 세션을 진행하길 추천드립니다.


기본적으로 옵션에서 캐릭터 시트를 'inSANe'을 선택해주세요. Roll20에서는 인세인의 캐릭터 시트를 제공해줍니다. 대부분 한글화가 되어 있으며,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사용을 권장합니다.


세션을 위한 방 복사는 [설정] - [게임 복사]를 이용합니다.


방 복사의 순서는 이와 같거나 결과가 동일하면 됩니다.

  1. [이름 및 태그]에 세션의 '시나리오 이름' 을 기입합니다.
  2. [옵션: 캐릭터 시트 선택] 에서 다시 'inSANe' 을 선택해주세요.
  3. [이 게임에서 복사..]에서 '채팅로그'와 'Players and Player Settings (Including Macros) 를 체크 해제 해주세요.
  4. [✅ 준비 끝, 게임 만들기!] 를 눌러주세요.



이제 마스터 방에는 무엇을 해야하나요?

Roll20의 기능으로 인세인에 편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캐릭터 시트 제공', '광기덱', '장면표' 정도 입니다. 그 외에도 응용하여서 '배경음악', '감정표'나 '아이템 사용 선언' 매크로 등을 만들 수 있지만, 그것은 필수가 아닌 선택입니다.


가장 먼저, 중요한 플레이어들을 위해 저널 란에 핸드아웃과 캐릭터 시트를 만들어야 합니다.


저널은 3번째 칸에 있으며, +추가를 통해서 폴더와 핸드아웃, 시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마스터 방에는 4명의 PC 폴더와 4명의 캐릭터 시트, 핸드아웃과 프라이즈 폴더, 클라이맥스 폴더를 만듭니다. 클라이맥스 폴더는 클라이맥스 페이지에 사용되는 에너미나 의식 시트 등을 보관하는 폴더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타로, 간단한 룰 정리가 된 핸드아웃을 만들어 두고서 세션 안내 폴더를 따로 만들어 둔다면 GM도 플레이어도 조금 더 편안한 게임이 되실 수 있을 지 모릅니다.


5번재 칸에는 콜렉션 탭입니다. Roll20에서 '매크로'를 사용한다고 말을 한다면 콜렉션 탭을 사용한다는 말과 동일합니다.

많은 분들이 편의를 위한 매크로와 테이블을 제공해주시고 있습니다. 맨 위의 '시작하기 전에 읽어보면 좋을 글'에도 몇 가지의 매크로를 소개해주시는 분의 블로그로 연결이 됩니다.

저는 여기에서 GM을 위한 아주 기본적인 매크로만 소개하고 지나가겠습니다.



/desc ?{내용}

채팅창에 /desc 를 쓰는 것이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닙니다. 매크로를 사용하면 /desc를 매번 입력하지 않고서 바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GM만이 사용 가능합니다.



/as "?{누구}" ?{내용}


/w gm ?{내용}



















혼자 있는 걸 좋아하고, 혼자 노는 것도 좋아하는.

규린님의 창작활동을 응원하고 싶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