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다소 뜬금없는 이야기를 야밤에 해볼까 합니다.


다들 MBTI에 대해선 한번쯤 들어보셨을 거에요.


엠비티아이의 신빙성에 대해선 현재에 와선 여러가지 갑론을박이 많지만


어쨌든 전 엠비티아이를 어느 정도 신뢰하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은 제각기 사람마다 다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뭐 어쨌든....


제 블로그를 꾸준히 와주신 분이라면 아실텐데


제 유형은 인프피, INFP 입니다.


I는 내향형

(아싸)

(집 안나감)


N은 직관형

(나무보다 숲을 봄)

(물질적 세계보다 마음 속 세상을 더 중요시)


F는 감정형


(자살충동)


P는 인식형


(대상을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드림)


의 환상의 조합으로


인프피라는 저주받은 괴물이 탄생합니다.



뭐...MBTI 커뮤니티에선 주로 인프피를


귀여움

자주 울음

엄청난 감정파

머리보다 가슴이 먼저

다큰 애기

천사

자살중독자



(대충 다 맞다)


기타 등등의 이미지로 자주 묘사되곤 합니다만...


뭐어 어쨌든 서두가 길었네요.


그런데 중요한 건 이 인프피, 그리고 인프피와 비슷하면서도 완전 다른 인프제(INFJ)의 특징은


타인을 향한 공감능력이 뛰어나다는 겁니다.


그래서 이 두 유형이 주로 선택하게 되는 진로가


타인 혹은 가상의 인물에 감정이입을 할 수 있는


상담사, 작가 등등이 대표적이더군요.


아무튼...


(굳이 덧붙이자면 인프피 인프제가 아니어도 당연히 공감능력은 기를 수 있씁니다.

사실상 공감은 가진 기질보다 지식의 문제)


그런데 이 공감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은 

어떤 것을 의미하느냐


바로 타인의 생각이나 감정을 생각보다 꽤 쉽게 캐치한다는 것입니다.


한 번의 눈빛, 상대방의 행동이나 표정만 보더라도


'아 이사람 지금 이런 감정 가지고 있네'


'이 사람은 대충 이런 느낌의 사람이군'


뭐 그런 것이 꽤나 짧은 시간안에 파악된다고나 할까요


이것은 물론 굉장히 미묘하고도 위험한 소리이긴 하지요


특히나 사람을 단순히 첫인상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굉장한 오류일수도 있구요.



뭐 저야....당연히 사람과의 관계는 그 사람과 직접 친해지기 전까지 보류하는 편이지만


그 계기가 생기기 전까진 어차피 남인지라, 속으로 온갖 억측과 추측을 다하는 편입니다(이미 충분히 불건강하다)



그-런데...


이 부분에 확연히 갈리는 것이 무어냐 하면


바로 인프피와 인프제의 커다란 차이점


마지막 글자 P와 J의 차이입니다.


P는 말그대로 대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인프제에 비하면 굉장히 감정파)


J는 대상을 판별하고 가치를 매긴 후에 받아들이는 것

(인프피에 비하면 굉장히 두뇌파)


이 차이가 꽤나 극명하게 갈리는데요


왜냐면 인프피의 가장 커다란 허점 중 하나가



'공상'과 '망상'을 존나 많이 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상대방의 제스쳐를 통해 그 사람의 생각과 마음을 읽는 것 까진 좋은데


그 이후부터 자기만의 말도 안되는 공상(....) 망상에 빠지기 시작하고


혼자서 이리저리 끙끙 거리다가


전혀 엉뚱한 결론으로 다다르고서는


결국 인간관계를 망치는(...) 그런 유형입니다.



제가...



그래서-


그런 저의 특성을 파악한 뒤로는


최대한 타인에게서 무언가를 느껴도 그것에 대해 별다른 가치를 두려고 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내 마음 끌리는대로 현실을 존나 왜곡할것이 뻔하기 때문에(....)


그리고 이미 수차례 그렇게 했던 전적이 있기 때문에...(....)





문제는 지금부터인데


과거에는 제가 굉장히 불건강한 상태였기 때문에


그런 망상 억측 후 관계가 꼬이는 일이 잦았지만


요 근래와서는 일단 정신상태가 굉장히 건강해졌으며


인간관계를 별로 만들질 않다보니(....)


그런 실수를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만....




요 근래 뭐랄까



현실세계에서(?)



확실히 느껴진달까요


타인이 무언가를 나에게 호소가는 느낌이


이 미묘한 차이가 근데


이게 진짜 인지 아닌지


이게 정말인지 나의 망상이 또 시작된 건지


도저히




판단이 서질 않는다....(.....)



인 것입니다.




후..


분명 뭔가 있긴 한데.....



잇는데...


그냥 망상인지...



...흠..


음..


...?


쓰고 보니 별 내용도 아니네?


뭐 암튼 그렇습니다.



사실 이래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처음부터 말하고보는


그런 직설화법의 유형 사람들과 오히려 더 빨리 친해지는 편입니다.


내향형과 내향형이 만나면....



천년 만년이 지나도록 서로를 주시 하기만 하다가...



대화 한 번 못해보고 영영 헤어지는 게 부지기수...


새드...스토리...





...후후...



심리학 이야기 재밌져?


저도 잼써요...


사람은...안만나지만...




케이지콘님의 창작활동을 응원하고 싶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