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중에서 선한지 악한지 단정할 수 없으면 악역이라고 할 수 없다. 예를 들어서 조커는 빌런으로 잘 알려져있지만 영화 "조커(2019)" 속 등장인물 조커는 서사가 빡빡하게 들어가 있다. 틀림없이 악인인 건 맞지만, 동인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고 작중에서 악당으로서 역할을 맡지도 않았다. 

선악은 그때그때의 정치적 판단이 아니라 대중의 도덕 관념을 따르는 것이고 사람의 다면적인 면모를 보여주기 시작하면 단순한 악당(악역, 빌런)으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드라마가 있고 적층된 내러티브가 있으면 플롯에서의 역할을 악당 보다는 대적자라고 불러야 할 것.

토니 스타크는 영웅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초법적인 자기 과시를 통해서 극복하고자 하는 사실상의 악인이나 다름 없지만, 작품은 그러한 사실에 대해서 생략하고 침묵해 영웅 아이언맨만을 다룬다. 주인공은 악인일지언정 악당이 될 수는 없다.

악당은 캐릭터가 작중에서 가지는 역할이다. 주인공의 앞길을 가로막는 장애물이자 위기를 가져다주기도 하고 결정적인 파멸이 되기도 한다. 포켓몬스터의 로켓단부터 다크나이트의 조커까지가 악당이다. 서사 창작물은 대중의 도덕 관념을 무시하지 않기에 이러한 악당은 항상 간결한 동인으로 움직인다.

이런 악당들이 간결한 이유는 창작자들이 '악에게 서사를 주지 않기 위해서'라는 작의를 가졌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그저 우리가 삶에서 감내하게 되는 온갖 해악들이 특별한 이유를 모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은유로 탁월하기 때문이다. 주인공에겐 고난이 있어야하는데 그 모든 것이 대적자 탓일 수는 없다.

대적자 또한 캐릭터가 작중에서 가지는 역할이고 악당과 유사한 부분이 있고, 실제로 악당과 대적자가 겹치는 경우도 있지만, 그보다는 주인공의 신념을 적극적으로 방해하는 존재다. 정확히는 작품의 주제의식을 보다 정교하게 만들기 위한 존재기도 하다. 다크나이트의 투페이스 같은 캐릭터가 대적자다.

대적자 또한 악인(역할과 무관하게 도덕 관념을 기준으로)일 수는 있지만 서사를 가졌기 때문에 악당은 아니다. 주인공이 대적자를 통해 성장하고 변화하듯, 대적자 또한 주인공을 통해 성장하고 변화한다. 그리고 어떤 수용자들은 작가의 의도를 무시하고 주인공이 아닌 대적자에 이입하기도 한다.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이 경우일 것이다. '매력적인 악한 대적자'는 수용자들에게 잘못된 신념을 가지게 만들 수 있고, 이 문제에 대한 논의는 꽤 오래전부터 있었다. 조커를 이야기할 것도 없이 한국 영화에서의 조폭 미화 문제가 이 문제와 꽤 많이 겹친다. 

하지만 이 문제는 '매력적인 악당'과도 같은 문제일 수 있다. 매력적인 악당은 서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저 생긴 것이나 행동이 멋있어서 수용자가 그 악당을 추종할 수 있기 때문이다(다크나이트 조커 이야기가 맞다). 서사를 주지 않아도 악에 매료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아무튼, 이러한 문제에 대한 태도와 해결 방안은 여러가지가 있고 창작자들이 논의도 하고 개개인의 방법론을 찾아보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내게 좀더 재미있는 고민은 도구가 악하거나 세계가 악한 건 괜찮을까 같은 것인데). 

단편 「미궁에는 괴물이」가 네이버 ‘오늘의 문학’란에 실려 첫 고료를 받았다. 이후 여러 지면에 장르소설 단편을 게재하고 웹소설을 연재했다. 소설집 『백관의 왕이 이르니』, 웹소설 『슬기로운 문명생활』을 썼다.

위래님의 창작활동을 응원하고 싶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