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역 있음, 오역, 피드백 환영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특정 성별에만 나타나지 않습니다. ADHD 증상은 남자아이들만큼 여자아이들에게도 많이 나타나며, 아동 ADHD는 성장한다고 자연스럽게 개선되기도 어렵습니다.

최근의 연구 다수가 ADHD는 유전적 발생 인자에서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하는데, 이는 자녀가 ADHD라면 그부모도 ADHD 증세가 있을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ADHD가 남아에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증세라고 생각하지만 성인 ADHD는 매우 현실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문제이며, 성인 여성의 ADHD 진단 케이스 역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의력 결핍 ADHD 증상은 불안증, 우울증 등으로 흔히 오진되기도 합니다.

혹시 ADHD 증세가 의심된다면 아래 테스트를 진행해보길 권합니다.


참고이 자가 테스트는 의료 전문가의 진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전문적 심리상담가 혹은 정신과전문의만이 임상평가를 통해 ADHD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여성 ADHD 참고 테스트


아래 질문에 해당하는 점수를 계산해주세요.

(매우 그렇다: 4, 자주 그렇다: 3, 종종 그렇다: 2, 가끔 그렇다: 1, 그렇지 않다: 0)


1. 상점, 사무실, 파티 등에서 압도된다는 느낌을 받거나 난처할 때가 있습니까?


2. 시간, 돈, 자격(커리어), 그 외 '이런저런 것들'이 당신의 인생을 좌지우지하거나(dominate), 혹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당신의 능력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3. 하루 일과 중에 탈탈 털린 것 같은 기분이 들어 다 그만두는 때가 있습니까? 


4. <실제로는 본인이 사기꾼인데도 사람들이 멀쩡한 사람으로 여기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낍니까? 


5. 집안이 거지꼴인게 부끄러워서 다른 사람을 집에 초대하기 망설여집니까? 


6. 가계부를 정리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습니까? 


7. 인생이 통제 불능이고, 목표나 요구에 맞추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느낄 때가 있습니까? 


8. 언제나 통제 밖의 행동 스펙트럼의 극단에 있는 것 같다고 느낍니까? (카우치 포테이토—생산적인 일을 하지 않고 누워서 과자만 먹는 사람— 혹은 토네이도처럼 늘 바쁘게 일을 하는 사람)


9. 다른 사람들보다 더 좋은 아이디어가 있지만 실제로 계획을 구현하거나 실행할 능력이 없어 못한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까?


10. 정돈된 하루를 보내야겠다고 마음을 먹고 하루를 시작하지만 하루가 끝날 땐 실패한 것 같은 기분을 느낍니까?


11. 비슷한 정도의 지능을 가지거나 교육 수준을 받은 사람들이 자신을 지나쳐 나아가는 걸 지켜보기도 합니까? 


12. 갈수록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거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절망합니까?


13. 감사 메모나 생일 축하 편지를 보내지 않아 자신이 이기적인 사람이라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 


14. 다른 사람들은 대체 어떻게 지속적이고 멀쩡한 삶을 살아가는지 감이 잡히지 않을 때가 있습니까? 


15. “게으르다a slob”거나 “정신이 팔려있는 것 같다spacey”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습니까?


16. 재미를 느끼거나 쉴 틈 없이 삶을 감당하고, 정돈하고, 일상이 무너지지 않도록 붙잡고 있는 데에 너무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쓰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17. 다른 사람들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 소리나 방해 요소에서 신경 끄는 게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합니까?


18. 하루의 마지막에 있는 “하나만 더요”의 부탁이 감정적으로 머리 꼭지를 돌게 합니까?








*

점수가 높을 수록 주의력 행동 결핍 장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점수가 높다고 반드시 자폐나 주의력 행동 결핍 장애라는 의미는 아니며, 정신의학과 전문의만이 임상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54-72점 사이의 점수가 나왔다면, 즉 대부분의 질문에 “매우 그렇다” 혹은 “자주 그렇다”라고대답한 경우 주의력 결핍 행동 양상이 나타나고 있을 수 있으니 전문의와 상담해보시길 바랍니다.


원문: https://www.additudemag.com/self-test-adhd-symptoms-women-girls/

숲으로 가는 인생

리톨님의 창작활동을 응원하고 싶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