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바뀐 거 모름

포타에 투표 기능이 있으면 좋겠어ㅜㅠ





1. 김도영

얘 왜 이렇게 천상 이과처럼 생겼냐고,, 왜 날 미치게 만드냐고 왜.. 수학 못 하는 김여주 불러다가 짜증 팍팍 내면서 왜 과외해줄 것 같냐고.... 수학 가형 풀면서 왜 굳이 나형 29번 30번 풀이 준비해오냐고 왜... (요즘은 가형 나형 아니라면서요ㅠ) 얘 지구과학이랑 화학 할 것 같음... 영어도 개 잘해.. 듣기 맨날 다 맞고 그 빈칸 문제에서 한두개 틀릴 것 같지... 비문학도 개 잘 품.. 약대 지망할 것 같애... KIJUL

엥 뭐래 김도영 누가봐도 문과임,, 얘 법정 사문 윤사같은 사탐 과목 킬러라고,, 얘가 정리한 요점노트 ㄹㅇ 애들이 한번 보고 싶어서 난리친다고.. 얘가 가끔 수특에서 찝어준 문학 모고에 나온다고.. 애들 국어 끝나면 김도영한테 우르르 간다고... 비문학때문에 죽어가는 김여주 야자시간에 몰래 복도로 불러다가 글 조각내서 정리하는 법 알려줄 것 같지.. 가고 싶어하는 과는 법학.. 검사 김도영..? 기절


2. 이제노

이제노 과고 준비햇다는 거 모르냐고,, 이제노 곧 죽어도 의대 지망임.. 근데 생기부도 ㄹㅇ 빵빵이라 수시 원서 하나만 써보자고 애걸복걸하는 주변 사람들.. 왜냐면 수시로 가는 게 마음 편하잔아.. 근데 이제노 곧 죽어도 수시 원서 하나도 안 쓰겠대.. 무조건 정시로 가겟대... 김여주 존나 속 타지.. 얘가 진짜 미쳣나.. 수시 하나만 쓰라고... 근데 이제노 맘 이해하는 게,, 이랬다가 갑자기 수시 납치 되면 ㅠ 여튼 선생님들이랑 신경전 지리게 하던 이제노,, ㄹㅇ 수능 하나 틀려서 의대 갔으면..ㅋ

아뇨 이제노는 문과입니다,, 걍 수학 개 잘하는 문과~^^ 얘 생윤사에서 날라다닐 것 같음,, 이기불상잡 이기불상리 이런 어려운 개념 잘 설명해줄 것 같애,,, 도시고등학교의 걸어다니는 이투스,, 걸어다니는 메가스터디,, 뭐 그런 거임,, 모고에서 맨날 사탐 만점 맞아서 모고 성적표 보면 1/333 1/ 335 이런 거일 듯,, 사탐 1 잡아놓으면 ㄹㅇ 편한 거 알죠,, 전 수능에서 사탐 5랑 7떠서 좆댓거든요 ㅋ 여튼 이제노는 문과임. 얘 철학과 갔으면 좋겟어ㅠㅠㅠㅠㅠ


3. 정재현

하 정재현은 문과지,, 포에틱 뷰티 모릅니까? 얘 곧 죽어도 교대 아님 사범대 가야 함.. 교육 동아리 들어서 맨날 중학교 초등학교에 봉사 가야댄다고ㅠ 얜 무조건 영어 킬러임.. 영어 걍 맨날 백점임.. 모고 풀다가 영어 좆대서 주변 둘러보면서 한숨 쉬고 있으면,, 일찍이 끝내놓고 복숭아 은은 웃음 짓고 있는 정재현이랑 눈 마주칠 것 같음... 이 미친 앙큼 복숭아가.. 가끔 스터디 하면 수특 욕할 것 같은 사람 1위.. 보라색이 왜 죽음이야..? 하면서 눈 동그랗게 뜰 것 같음...

그래서 정재현이 이과인게 좋다니까요? 고글 쓰고 가운 입고 과학 동아리 하는 정재현 상상해봐... 생기부 채우겠다고 콩 발아시켜서 일지 쓰는 정재현 상상해봐.. 지구과학에선 ㄹㅇ 죽어가는 데 (절대 못 하는 건 아님) 생명과학은 곧 죽어도 만점 맞는 정재현을 상상해봤어요.. 생명과학 젬병 김여주,, 이거 답 왜 이거냐고 물어보면,, 친절히 설명도 해줄 것 같음,, 가끔 자기 콩 이파리 노랗게 됐다고 슬퍼할 것 같음.. ㅠ


4. 황인준

황인준,,, 얘 그거 알죠,, 도서관에서 만난 미스터리한 전학생,, 먼지 퀘퀘 도서관에서 책 꺼내주다 시작된 사랑.. 이런 거 황인준이랑 잘 어울리는 거.. 황인준 문창과 지망이라 방과후 문창반도 들어야된다고.. 원래 개 빡치고 인간 다 죽어 내용 시 주구장창 쓰던 황인준,, 김여주 만나고 사랑 시 써야된다고.. 생기부에 황인준의 시 풍 변했다는 내용 박제되어버려야한다고,,,

이봐요 인준이는 이과거든요,, 인준이 물리 해야되거든요ㅠ 전교에 물리 하는 사람 오십명 밖에 없는데도 꾸역꾸역 일등급 맞는 사람이어야되거든요ㅠ 물리 2는 취미로 하는 사람... 물리 천재 황인준.. 물리 조아 인간 황인준이어야된다고... 이래놓고 물리 책 쿵쿵 밟으면서 욕 할 것 같은 사람 1위,, 교과서 왤케 재미없냐고 징징 댈 것 같은 사람 1위..






오타쿠

쓰나미님의 창작활동을 응원하고 싶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