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의 3가지 척도

                                      소화가 잘되는가 ?  변은 잘보는가 ?  잠은 잘 자는가 ?


1. 소화의 의미

소화는 거대한 분자를 세포들이 먹을 수 있게 저분자로 쪼개는 것을 말한다. 


무엇을 먹는 가에 따라서 그 날의 건강을 좌우하고 무엇을 먹고 살아왔는가에 따라서 현재의 건강상태를 알 수 있으며 무엇을 먹을 것인가에 따라서 내일의 건강을 짐작할 수 있다.


2. 소화기관

     - 소화기관은 입,식도,위장,췌장(쓸개즙),샘창자,소장,대장,직장의 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입과 침

 - 입의 저작운동으로 인해 침의 분비량이 늘고 6.5PH의 침을 하루에 1.5L를 분비한다. 또한 침은 천연연고(라이소자임)로 세균을 잡아먹는 효소이다. 항균, 치아성숙, 혈액응고, 발암물질의 독성제거의 역할을 한다. 침의 아밀라아제는 당을 이당유로 분해하고 700종 가량의 미생물의 덩어리로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구강내 침샘은 3곳(귀밑샘, 턱밑샘, 혀밑샘)으로 저작작용을 많이 하면 침의 분비량이 높아진다. 


(2) 위

 - 위벽에 분포하는 3만 5천개의 위샘이 있다. 위샘은 보통 때는 위액이 분비되지 않다가 음식이 들어오면 하루 3L 가량의 위액분비를 한다. 음식이 들어오면 연동운동으로 위액과 섞이고 유문부의 맷돌운동에 의해 작은 입자로 소장으로 내려간다. 위벽의 뮤신은 항펩신 물질로 점액 단백질 분비, 위벽을 덮고 세균, 자극성 물질, 위 자체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펩신과 염산(위산)으로부터 위벽을 보호한다.  위염과 위궤양이 있으면 펩신이나 염산의 공격을 받아 위가 아프고 쓰린 이유이다.


 (3) 쓸개즙(담즙)

  -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낭에 저장된다. 하루 1L정도 분비되는데 위의 유문반사에 의해 음식이 샘창

  자로 내려올 때 집중 분비된다. 주로 지방을 유화시켜 소화가 잘되도록 돕는다.


 (4) 췌장

  -  위에서 내려오는 음식은 강한 산성을 띤다. 내려온 음식이 담즙과 이자액으로 약알칼리성이 되면 위에서 음식을 조금 내려보내는 유문반사가 일어난다. 췌장은 소화액의 창고인데, 다양한 효소가 있으며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당류), 지질, 단백질을 아밀라아제(녹말 분해), 트립신(단백질 분해), 리파아제(지방 분해),말타아제(아밀라아제에 의해 소화된 엿당을 포도당으로 분해), 외 20여(설탕,젖당,핵산등) 종류의 효소가 있어 소화를 돕는다.

또한 췌장에는 랑게르한스섬이 있는데 이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혈당이 높을 때 인슐린을 분비해 혈당을 낮추는 것은 인슐린이고 혈당이 낮을 때는 글루카곤을 분비해 혈당을 높인다. 


 (5) 작은창자(소장)

 - 영양분을 흡수하는 빈창자와 역행을 방지하는 돌창자와 큰창자의 연결구(괄약근)로 구성된다. 

    소장의 소화효소에는 당분해 효소인 말타아제, 락타아제, 수크라아제로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를 만들고, 지방분해효소 장리파아제는 지방산, 글리세롤를 만들며, 단백질분해효소인 펩티다아제, 디펩티다아제는 아미노산을 만든다. 

 - 영양소들은 소장의 융털에서 흡수하고 물도 흡수한다. 다른 영양소들은 소장벽의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ATP) 작용으로 능동적으로 흡수된다. 

* 영양소 이동

 

(6) 대장

소장에서 넘어온 음식의 수분을 흡수하는데 차가운 물질은 설사를 통해 미흡수되고 열이 많은 것은 과흡수되여 변비가 발생된다. 대장에서 자리잡은 미생물을 대장균이라하는데  유산균(숙변제거)과 섬유소는 대장의 빗자루로  섬유소(미생물의 밥) 섭취가 그래서 중요하다. 또한 대장은 진액흡수 기관이다. 


* 방귀 : 미생물이 뿜어내는 메탄가스(인돌, 스카돌, 황화수소, 메탄)로  미생물이 단백질을 분해할 때 나오는 것이다. 따라서 독한 냄새 (메탄, 황화수소, 벤조피렌 (1급발암물질)가 나는 것은 부패균(발암물질),동물성 단백질(악취) 이다.


 (7) 항문

항문은 대뇌의 허락으로 괄약근이 열리는데 허락을 해도 변이 못 내려오는 것이 변비이다.


마무리

 음식을 먹으면 입에서 저작운동으로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식도를 통해 본문을 거쳐 위에 들어가고 위에서의 연동운동과 맺돌운동으로 죽처럼 만들어져 유문반사를 통해 조금씩 샘창자인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면서 간에서 만들어진 쓸개즙과 췌장에서 분비한 인슐린 이 섞이고 소장의 모세혈관으로 들어간 영양소는 간문맥으로 흡수되여 간에서 간정맥으로 하대정맥에서 심장으로 가서 폐의 산소를 섞어 온몸의 세포들에게  혈액이 공급되여 신진대사가 일어난다.   


* 모세혈관 분포


* 모세혈관과 동,정맥의 관계

    - 심장 - 동맥 - 소동맥 - 모세혈관 - 조직세포 (영양공급) - 모세혈관 - 소정맥 - 정맥 - 심장


사주는 天命으로 天命이 자신의 세상만사와 어떻게 결부되여 있는 지를 알고 육친과 건강,이성,진로,재,관의 관계를 알고 지혜를 얻어 성공의 길로 들어서는 시야를 넓혀보자. 天命을 잃고 자신의 비단으로 구름을 만들어 성공적인 삶을 살아 보자.

naun K님의 창작활동을 응원하고 싶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