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으로 글을 들어가기에 앞서서! 노션이란?


많은 분들이 착각하시는 게 있습니다. 노션모바일을 위한 앱이 아닙니다. 스마트폰, 태블릿에 다운받아 사용하는 노션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일 뿐, 모바일 환경에서는 노션의 기능을 100% 사용할 수 없습니다.

Notion Laps에서는 노션을 "메모, 작업, 위키,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올인원 워크스페이스, 노션"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올인원 워크 스페이스란 결국 직장인들이 사용하도록 만든 도구라는 겁니다. 개인 사용자들이 지금 어떻게 사용하고 있든지, 노션이 맨 처음에 추구한 건 기업에서의 사용이라는 소리입니다. 직장에서 일을 하려는데 스마트폰만 들고할 수는 없겠죠? 그렇기때문에 노션의 바탕은 모바일이 아니라 PC 환경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여기에 언제 어디서나 업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나온 것이 모바일 앱이 되겠죠.

그렇기때문에 노션의 기능을 100% 활용하시려면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이 있는 게 좋습니다. 개인 사용자도 마찬가지입니다. 노션의 핵심은 데이터베이스인데, 화면비율이 좁은 모바일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편집하려면 굉장히 번거롭습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모바일 앱은 PC환경에서 사용하는 노션의 보조적인 도구입니다. 만약 단순한 투두리스트나 메모장, 가계부, 일기장 등의 단일 목적으로만 노션을 사용하실 계획이시라면 차라리 다른 앱을 쓰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요즘 주변에서 노션 많이들 쓰죠? 유튜브에 추천 영상도 많이 올라오고, 앱스토어 평점도 괜찮은 것 같고, 그렇게 좋다고들 하니 한번 다운받아볼까 싶기도 합니다.

그런데 막상 내가 다운받아본 노션 앱은 다른 사람들이 쓰는 것과는 좀 다른 것 같습니다. 알아서 척척 예쁘게 꾸며진 대시보드나 자동화된 프로그레스바 이런 건 어떻게 하는 지도 모르겠고, 달랑 하얗고 깔끔한 빈 페이지만 떠 있으니 여기에서 뭘 어떻게 시작할지 도통 감이 안 잡히죠. 데이터베이스? 수식? 보기만 해도 머리가 지끈거립니다. 간단하게 메모장 앱으로 쓰자니, 그럴 거면 노션을 쓸 필요가 없지 않나? 싶어서 결국 앱을 삭제해버리고 싶은 마음이 듭니다.

이건 제 얘기이기도 합니다. 아이패드를 처음으로 구매하고, 애플 필수 앱 추천에 뜬 '노션'이라는 앱을 다운받았다가 하루만에 바로 지웠거든요.

그런데 지금 노션은 제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앱이 되었습니다. 저는 노션에서 창작 노트, 캘리그라피 커미션, 게임(심즈4 cc템과 치트키, 단축키) 노트, 위시리스트, 플레이리스트, 여행 일정, 독서기록장을 해결하고 있으니까요.

이 글은 저처럼 노션을 다운받았다가 지운 분들, 노션을 다운받았지만 어떻게 사용할 지 모르겠는 분들을 위한 노션 사용법을 담았습니다. 기초부터 천천히, 아주 차근차근 설명해드릴 테니, 놓치지 말고 끝까지 잘 따라와주세요! 기초적인 사용 방법을 알고 계신다면 (1)번 글은 넘겨주셔도 됩니다.

  • 목차

(1) 노션 기초 설명 : 노션이 뭔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모르시겠다고요? 일단 들어오세요! 기초부터 알려드립니다.

(2) 데이터베이스 사용 방법 :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지 못하면 노션은 팥 없는 찐빵이에요!

(3) 수식이 뭐야? : 수학 못 해도 괜찮아! 수식으로 진행률 계산부터 텍스트 꾸미기까지!

(4) 대시보드 꾸미기 : 나만의 노션 바탕화면을 꾸며보아요! 자잘한 노션 팁!(영상)

(4) 대시보드 꾸미기 : 나만의 노션 바탕화면을 꾸며보아요! 자잘한 노션 팁!(영상 보충)


(1) 노션 기초 설명


① 노션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② 기능 설명 - 화면
③ 기능 설명 - 페이지
④ 기능 설명 - 블록

① 노션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노션은 사용자가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활용도가 무궁무진한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고 싶은 물건들을 갤러리에 정리할 수도 있고,

창작자는 창작물을 기획하거나 작품 설정, 플롯, 등장인물 스토리를 만드는 창작 도구로 활용할 수도 있고,

메모장, 할 일 목록, 일상 루틴 기록표, 식단표, 운동 기록표, 독서 기록장, 영화나 뮤지컬 감상 기록, 일기장, 여행 계획, 여행 기록, 가계부,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일정 정하기, 자기소개서, 포트폴리오, 커미션 작업 내역, TRPG 또는 ORPG 로그 정리, 오늘까지 마감해야하는 일 알림, 자격증 플래너……, 지금 생각나는 것만 해도 이정도네요.

(제가 만든 노션 템플릿은 옆에 있는 이모티콘을 누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② 기능 설명 - 화면

노션을 로그인하여 맨 처음 들어가면 이런 페이지가 하나 뜨게 됩니다. 노션을 처음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튜토리얼을 적어놓은 페이지인데, 삭제해도 됩니다.

페이지들을 삭제하고 새 페이지를 생성하면 이런 빈 화면이 나타납니다.

생성한 페이지는 사이드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측 상단에 있는 기능들을 살펴보겠습니다.

공유는 노션을 외부로 공유하는 기능입니다.

편집과 댓글을 허용하면 다른 사용자들과 노션을 편집하고 소통할 수 있고,
템플릿 복제를 허용하면 내가 만든 다이어리 템플릿, 가계부 템플릿 등을
다른 사용자들이 복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편집, 댓글, 템플릿 복제를 모두 허용하지 않으면 읽기만 가능한 문서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노션 사용자를 초대하여 초대한 사용자만 이 노션을 사용하게 할 수도 있겠죠.

댓글은 다른 커뮤니티 등에서 말하는 댓글 기능과 동일합니다. 피드백을 주고받거나,
작가의 개인홈이라면 독자들이 응원 메시지를 남기거나 할 수도 있습니다.

점 세 개는 글씨체, 글씨 크기(작은 텍스트, 일반 텍스트만 가능),
좁은 너비와 넓은 너비 등의 스타일 지정,
페이지 사용자 지정(백링크, 댓글 관련), 페이지 잠금과 같은 페이지 설정,
페이지 즐겨찾기 추가, 링크 복사, 앱에서 열기 같은 메뉴, 실행 취소, 페이지 기록, 삭제 페이지 표시,
삭제 등의 취소 및 삭제 기능, 가져오기와 내보내기가 가능한 공유 기능,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옮기는 옮기기 기능이 있습니다.

이곳에서 제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는 글꼴 스타일, 텍스트와 너비, 페이지 잠금입니다.


③ 기능 설명 - 페이지

저는 우선 제목을 "노션 사용 방법"이라고 붙여주겠습니다.

빈 페이지에는 어떤 형식으로 페이지를 만들지 보여주는 아이콘이 여러 개가 뜹니다.

무시하시고 그냥 빈 페이지를 클릭해도 나중에 다시 페이지 형식을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관 없지만,

그래도 어떤 기능인지는 알고 넘어가도록 합시다.

첫 번째로 페이지 형식 중 빈 페이지, 아이콘 추가는 페이지의 대표 이모티콘을 지정하는 기능입니다. 여기서 지정한 이모티콘은 사이드바를 펼쳤을 때 보여지게 됩니다.

이모티콘은 기본 제공 이모지, 이미지, 링크 세 가지 방식으로 지정할 수 있고, 원하지 않는다면 제거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빈 페이지는 이모티콘 추가 없이 그냥 글을 쓰기 시작하는 방법입니다.

세 번째로 템플릿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노션에서 제공하는 템플릿 목록이 우측에 뜨고,
템플릿을 보여줍니다.

디자인, 학생, 엔지니어링, 인사, 마케팅, 개인, 기타, 프로젝트 관리, 영업, 지원이라는 항목이 있고,
더 많은 템플릿을 살펴보려면 템플릿 더 살펴보기를 클릭하면 됩니다.

템플릿은 이 안에서 직접 편집한 후 저장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아니면 일단은 템플릿 사용하기 버튼을 누른 후에 페이지에서 고칠 수도 있습니다.

네 번째는 가져오기는 외부에서 형식을 가져오는 방법인데, 저는 이 메뉴는 사용해본 적이 없네요^^;


데이터베이스는 따로 다룰 것이기 때문에 일단은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페이지 제목 위로 마우스를 올리면 커버라는 메뉴가 뜨는데요.

커버는 트위터로 치자면 헤더, 블로그로 치자면 타이틀 배경입니다. 

커버 변경을 누르면 커버를 변경할 수 있고, 위치 변경을 누르면 사진의 크기에 따라 커버가 보여지는 위치를 위아래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커버는 노션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색상과 이미지 또는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사진의 링크를 붙여넣기하여 적용할 수 있고,
Unsplash 사이트에서 사진을 검색하여 이미지를 커버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를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사이드바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사이드바를 열어 +버튼을 누르고 페이지 추가 버튼을 누르면 페이지가 생성됩니다.

페이지에 하위 페이지를 만들고 싶다면 점 세 개 옆에 있는 +버튼을 누르거나

페이지를 하나 생성한 후 페이지를 드래그해주면 하위페이지가 생성됩니다.

또는 페이지 안에서 페이지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하위 페이지가 생성됩니다.


④ 기능 설명 - 블록

블록을 추가해보겠습니다.
노션에서 블록은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옮길 수 있는 데이터 한 개를 의미하는데요,
이건 노션 팀에서 노션을 만들 때 레고 블록처럼 데이터들을 쌓고 조립하는 데에서
붙여진 이름인 듯합니다.

블록 위로 마우스를 옮기면 + 버튼과 점 6개가 뜨는데, 점 6개를 꾹 누르고 마우스를 옮기면
블록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점 6개를  짧게 한 번 누르면 삭제, 복제, 전환, 하위 페이지로 전환, 블록 링크 복사, 옮기기, 댓글, 색 지정 메뉴가 뜹니다. 

전환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으로 블록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제 +버튼을 눌러서 할 수 있는 것을 살펴보겠습니다.

기본 블록 : 가장 기본적인 블록입니다. 일반적인 문서 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텍스트 : 일반 텍스트를 사용한 가장 기본적인 블록입니다.

페이지 : 페이지 안에 하위 페이지를 만드는 기능입니다. 만약 한 페이지에 여러 페이지를 만들어야 한다면 + 버튼에서 이 기능을 사용하지 마시고, 먼저 텍스트로 제목을 작성한 후 전환 버튼을 눌러 페이지로 바꾸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할 일 목록 : 간단하게 체크 박스를 추가하는 기능입니다. 할 일이나 장을 볼 때 메뉴 등을 간략히 메모할 수 있습니다.

제목1, 2, 3 : 텍스트와 기능은 동일하지만 크기가 좀 더 큽니다. 1이 제일 큰 제목이고, 3이 제일 작은 기능입니다.

표 : 아무런 속성도 없는 간단한 표를 추가합니다. 문서적인 기능을 하며, 데이터베이스 기능이 없는 표가 필요할 때는 이 블록을 사용합니다.

글머리 기호 목록, 번호 매기기 목록 : 문서 작업을 한번이라도 해보셨다면 알 수 있는 기호입니다. 해당 블록에서 글을 쓰고 엔터를 누르면 바로 글머리 기호 또는 번호가 추가되는 기능입니다.

토글 목록 : 접고 펴기가 가능한 목록입니다. 평소에는 접어두다가 필요할 때 토글을 펼쳐 사용합니다.

콜아웃 : 상하좌우에 여백이 있는 글상자를 추가합니다. 배경색이 자동으로 추가되며, 눈에 잘 띄는 아이콘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인라인 : 텍스트 안에 멘션 또는 이모지, 수학 공식을 넣을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인라인 : 페이지 안에 데이터베이스를 넣는 기능입니다. 하나의 페이지 안에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두고 한 눈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전체 페이지 :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페이지로 생성합니다.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는 개별 페이지를 가집니다. 인라인에 넣은 페이지도 제목을 누르면 전체 페이지로 볼 수 있습니다.

링크된 데이터베이스 생성 : 기존에 작성해둔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페이지 내에 불러오는 기능입니다. 제목 옆에 관계형 속성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미디어 : 이미지, 북마크, 동영상, 오디오, 코드, 파일(다운로드용)을 임베드(삽입합니다. 

임베드 : 각종 사이트에서 pdf, 지도 등을 임베드합니다. 그냥 인터넷 링크가 있는 거의 모든 사이트와 모든 파일을 삽입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보았던 미디어 역시 임베드 기능을 활용해 삽입할 수 있습니다. 

고급 블록

목차 : 저는 잘 쓰지 않지만 페이지의 개요를 표시하는 기능입니다. 페이지를 생성하기 전에 목차를 먼저 만들어두면 다음에 생성하는 페이지들이 자동적으로 목차에 추가됩니다.

수학 공식 블록 : 수식입니다. 수식은 정말 많은 기능을 하기 때문에 (3)에서 따로 다룰 예정입니다.

이 스샷은 노션의 모든 블록을 나타낸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사실 (1)번 기능 설명 글은 이 설명을 읽는 것보다 직접 하나하나 클릭해가며 어떤 도구인지 써보는 게 이해가 더 빠를 것 같지만, 그래도 설명이 필요한 분들이 있을 듯 해서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다음 글은 (2) 데이터베이스 사용 방법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노션의 핵심 기능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동안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잘 활용하지 못하셨다면 다음 글을 기대해주세요😉

글과 글씨를 씁니다.

러기님의 창작활동을 응원하고 싶으세요?